Rovin

블로그 이미지

RovinJ

'Broadcast'에 해당되는 글 5건

제목 날짜
  • MPEG 트랜스 포트 스트림 2013.05.03
  • MUX와 DEMUX 2013.05.03
  • MPEG 이란? 2013.05.03
  • MPEG 원리 2013.05.03
  • OCAP 이란 2013.05.03

MPEG 트랜스 포트 스트림

Broadcast 2013. 5. 3. 18:24

출처 : MPEG 시스템 책

   

   

  • 개요

    시스템 코딩이란 압축된 오디오나 비디오 스트림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 또는 저장에 적합하도록 만드는 포장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여러개의 비트 스트림을 입력 받아 일

    련의 스트림으로 포장하는 과정을 시스템 인코딩이라 하고,

    포장한 것을 원래의 입력된 형태로 풀어내는 과정을 시스템 디코딩이라 한다.

       

    # 5가지 기능

       

    • 동기화 : 복수개의 elementary stream( USERDATA 포함 ) 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디코더에서 디코딩할 때 각 elementary stream 디코더 상호간의 동기를 맞추어 재생 할 수 있도록 한다.
    • 다중화 : 복수개의 elementary stream을 하나의 단일 스트림으로 묶어 저장 또는 전송 등의 응용에 적합 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버퍼 초기화 : 초기 동작시 버퍼의 초기 동작 레벨을 맞추어 준다.
    • 버퍼 관리 : 초기 버퍼레벨 조정 후에도 디코더의 버퍼 레벨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디코더 단의 모든 버퍼에서 underflow나 overflow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 시간규정 : 프로그램마다 시간을 삽입하도록 하여 스트림 또는 프로그램들의 재생, 상호변환을 용이하게 하며, 다른 스트림이나 프로그램으로 또 다시 다중화 하는 경우에 시간 기준값을 유지하도록 하여 원래 스트림이나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재생할수 있도록 한다.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 ( MPEG Transport stream )

  • Wiki : http://ko.wikipedia.org/wiki/MPEG_%ED%8A%B8%EB%9E%9C%EC%8A%A4%ED%8F%AC%ED%8A%B8_%EC%8A%A4%ED%8A%B8%EB%A6%BC
  • TS,TP,MEPG-TS 라고도 불림
  •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 PES(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와 기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
  • TS는 MPEG-2파트
  • 디지털 영상과 소리를 다중화 하고 출력을 동기화하는 것이 목표
  • 신뢰할 수 없는 매체의 오류 정정기능을 제공
  • DVB와 ATSC와 같은 영상 응용에도 쓰임
  • PSI (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
    • 프로그램 지정 정보는 MPEG-2 표준에 정의된 META DATA이다.
    • PSI 데이터는 4 개가 존재한다.
      • 프로그램 연결 ( PAT)
      • 프로그램 맵 ( PMT )
      • 조건식 제한 접근 ( CAT ) <-------- MPEG-2규격은 규정 하지 않음
      • 네트워크 정보 ( NIT ) <-------- MPEG-2규격은 규정 하지 않음
  • PID
    • TS의 각 테이블이나 기초 스트림(ES)은 13비트 패킷 ID(PID)로 식별
    • 역다중화기(demultiplexer)는 같은 PID로 식별된 패킷을 검색하여 부분적으로 TS로 부터 기초 스트림을 추출
    • 시분할 다중화는 얼마나 자주 특정한 PID가 TS에 나타나는지를 결정하는 쓰인다.

         

  • PAT (Program Association Table)
    • 채널 내의 프로그램 정보 (PMT) 목록을 유지한다. (PID = 0)
    • TS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프로그램을 나열
    • Program_number(프로그램계수)라 불리는 16비트 값으로 식별된다.
    • PMT의 PID 연결 값을 가지고 있다.
    • 0x0000은 PID에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 위치를 부여하기 위해 보전.
    • 해당 프로그램이 PAT에 존재하지 않으면 기본 PID값 0x0010이 NIT에 쓰인다.

         

  • PMT (Program Map Table)
    • 프로그램 내의 영상/음성 스트림에 대한 정보(PID)를 포함한다.
    •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
    • 각 프로그램마다 PMT가 존재한다.
    • 하나의 구별된 PID상에서 전송 할 것을 요구
    • Program_number를 비롯하여 TS에 존재하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기술된 MPEG-2구성하는 기초 스트림
    • 기초 스트림은 stream_type(스트림종류) 값으로 그 이름이 붙어 있다.

         

  • CAT (Conditional Access Table)
    • 스크램블링과 같은 접근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PID = 1)
    • 즉

       

  • PCR( Program Clock Reference ) - 프로그램 클럭 참조
    • 연결된 영상과 결합된 오디오 트랙과 같이 동기화된 컨텐츠를 표현하는 디코더를 사용하려면 적어도 100 mm/sec 마다

      프로그램 클록 참조가 MPEG-2 TS 패킷의 유효 필드에 전송되어야 한다.

      PID는 연결된 PMT안에서 pcr_pid값으로 식별

      문제가 없다면 PCR의 값은 디코더 안에서 시스템 타이밍 클럭을 만들어냄

      여기에도 문제가 없다면 STC 디코더는 영상 및 소리의 기초 시스템을 동기화 하는데 쓰이는 더 정확한 시간대를 제공

      즉 PMT 안에서 pcr_pid 값 식별 ----문제없음 ------> 디코더 안 시스템 타이밍 클럭 만듬 ---------> STC 디코더는 영상 및 소리를 기초 시스템을 동기화하는데 정확한 시간대 제공

       

  • PTS - 재현 시간표
    • 재현 시간표

         

  • NIT (Network Information Table) - MPEG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한다. (PID = 10)

       

  • Null 패킷
    • ATSC와 DVB같은 일부 전송 체계는 엄격한 고정 비트레이트를 TS요구한다.

      스트림이 고정 비트레이트를 유지하려면 역다중화기는 일부 추가적인 패킷을 삽입해야하는데

      이를 위해 PID 0x1FFF가 보존된다.

      Null 패킷의 페이로드는 데이터에 전혀 포함되지 않으며 수신기가 Null패킷의 콘텐츠 내용을 무시하게 된다.

         

  • PES ( Packetized Elementary Stream )
    • 패킷화된 기초 스트림

   

MUX( Multiplexer )

복수회로에서 입력되는 신호중 어느 하나의 입력신호를 캐치하여 출력회로에 실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선택 논리 회로

MUX를 이용하면 여러장치가 하나의 전용선을 공유 할 수 있다.

통신망 구성과 관리를 간단하게 하고 통신 비용을 크게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STDM( 통계 시분할 방식) 혹은 TDM( 시분할 방식)을 채용하여 통신 채널을 공유하며 모뎀과 단말기 사이에 설치된다.

   

DEMUX ( DeMultiplexer )

입력신호는 하나가 들어오는데 다양한 출력을 뽑을 수 있게 하는 것

'Broadca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UX와 DEMUX  (0) 2013.05.03
MPEG 이란?  (0) 2013.05.03
MPEG 원리  (0) 2013.05.03
OCAP 이란  (0) 2013.05.03
Posted by RovinJ

MUX와 DEMUX

Broadcast 2013. 5. 3. 16:01


MUX( Multiplexer )

   복수회로에서 입력되는 신호중 어느 하나의 입력신호를 캐치하여 출력회로에 실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선택 논리 회로

   MUX를 이용하면 여러장치가 하나의 전용선을 공유 할 수 있다.

   통신망 구성과 관리를 간단하게 하고 통신 비용을 크게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STDM( 통계 시분할 방식) 혹은 TDM( 시분할 방식)을 채용하여 통신 채널을 공유하며 모뎀과 단말기 사이에 설치된다.

 

DEMUX ( DeMultiplexer )

   입력신호는 하나가 들어오는데 다양한 출력을 뽑을 수 있게 하는 것

'Broadca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PEG 트랜스 포트 스트림  (0) 2013.05.03
MPEG 이란?  (0) 2013.05.03
MPEG 원리  (0) 2013.05.03
OCAP 이란  (0) 2013.05.03
Posted by RovinJ

MPEG 이란?

Broadcast 2013. 5. 3. 11:17

MPEG (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

  • 동화상 전문가 그룹
  • 국제 표준 단체 ( ISO/IECJTC1/SC29/WG11 )
  • 비디오와 오디오 등 멀티미디어의 표준 개발을 담당하는 소규모 그룹
  • MPEG-1
    • 최초 비디오와 오디오 표준
    • 비디오 CD의 표준으로 쓰였고 MP3오디오 압축 포맷이 여기에 포함
    • 표준 해상도는 352x240, 30 frame/ sec
    • CD 1장에 74분의 영상을 담음
  • MPEG-2
    •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표준
    • 디지털 위성 방송, 디지털 유선 방송, 고화질 TV방송, DVD 비디오
    • 표준 해상도는 720x480, 1280x720 이며 60  frame/sec 음질은 CD와 동일
  • MPEG-3
    • HDTV방송을 위해 고안되었으나 MPEG-2표준에 내용이 합쳐져 중지됨
  • MPEG-4
    • MPEG-2 를 확장하여 영상/음성 "객체", 3D 콘텐츠, 저속 비트율 인코딩, 디지털 재산권 관리 등 지원 포함
    • 멀티미디어 통신에서의 이용을 위해 만들었으며 영상압축 기술 인터넷과 이동 통신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 동영상 표준은  MPEG-4 Part2 Visual 에 해당하며 흔히 H.264라고 불려지는 코덱이 MPEG-4 Part 10 Advanced Video Coding으로 정의되어있다.
    • 3차원 모델을 압축하기 위한 3차원 메쉬 부호화 (3D Mesh Coding) 또한 지원
  • MPEG-7
    •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술하기 위한 형식적 시스템
    • 검색 사이트에서 키워드로 동영상을 검색하는 등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정보 검색에 사용할 수 있다.
  • MPEG-21
    • 미래의 표준을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 MPEG-21 이후 빈번히 창안되는 새로운 표준 기술들을 각 분류별로 통합하고자 아래와 같은 기술을 분류별 표준을 창안하여 기술 표준화에 적용하고 있다
    • MPEG-A :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포맷 (MAF)을 위한 표준
    • MPEG-B : 시스템 표준 분류를 위한  MPEG 표준
    • MPEG-C : 비디오 표준 분류를 위한 MPEG 표준
    • MPEG-D : 오디오 표준 분류를 위한 MPEG표준.( 사실상 MPEG 서라운드( MPEG Surround) 표준에 해당한다.)
    • MPEG-E : 멀티미디어 미들웨어를 위한 표준이다.



아~~ 갈길이 멀다 ㅋㅋ

'Broadca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PEG 트랜스 포트 스트림  (0) 2013.05.03
MUX와 DEMUX  (0) 2013.05.03
MPEG 원리  (0) 2013.05.03
OCAP 이란  (0) 2013.05.03
Posted by RovinJ

MPEG 원리

Broadcast 2013. 5. 3. 11:17

영상 압축

  • MPEG 영상 코덱은 변환 코덱을 이용하는 손실 압축 방식 사용
  • 그림과 소리의 샘플은 작은 조각으로 나뉘고 주파수 공간으로 변환되어 양자화 된다. 이렇게 조작된 값들은 다시 엔트로피 부호화 된다.
  • MPEG-1,2,4등의 동영상 코딩 시스템에는 움직임 보상 등의 과정을 이용하여, 연속되는 두 그림 또는 근처의 그림들 사이의 차이를 경제적으로 전송함으로 써 압축이 이뤄진다.
  • MPEG은 스트림 포맷과 디코더(복호기) 표준만을 정한다. 인코더는 표준화 되어 있지 않으며, 유효한 비트 스트림을 만들기 위해 참조할 수 있는 예가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MPEG-4 디코더는 어떤 인코더로 만들어졌는지에 상관없이 모든 MPEG-4 스트림을 디코딩 할 수 있다.
  • 코덱 (Codec)
    • 어떠한 데이터 스트림이나 신호에 대해 인코딩이나 디코딩 혹은 둘 다 할 수 있는 하드웨어나 소프트 웨어를 일컫는다.
    • 일종의 부호기,복호기 알고리즘
    • 데이터 압축 기능을 사용하여 자료를 압축 혹은 압축을 풀어 자료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
    • 손실 코덱 : 품질을 떨어뜨려 압축을 수행, 사용되는 코덱과 설정에 따라 압축되지 않은 원음과 실제로 차이를 느끼기가 쉽지 않다
    • 비손실 코덱: 압축된 데이터가 원본 스트림에 존재하는 모든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코덱, 영상 편집처럼 빠른 처리가 필요하거나 편집 도중 화질 열화를 막기위해 비손실 코덱이 쓰인다.

 

 

데이터 압축 구현 및 압축 소프트웨어

영상 코덱

(비교)

손실

MPEG-4 ASP

3ivx · DivX · FFmpeg MPEG-4 · HDX4 · Xvid

H.264/MPEG-4 AVC

CoreAVC · HDX4 · 퀵타임 H.264 · x264

기타

시네팩 · FFmpeg · Dirac · Indeo · VP3 · VP7 · Pixlet · Tarkin · Theora · WMV

무손실

CorePNG · FFV1 · Huffyuv · Lagarith · MSU 비손실

오디오 코덱

(비교)

일반

돌비 디지털 · ADPCM · ATRAC · Musepack · TwinVQ · Vorbis · WMA

발음/목소리

iLBC · IMBE · iSAC · QCELP · Speex

무손실

애플 무손실 · 돌비 트루HD · DTS-HD 마스터 오디오 · OptimFROG · FLAC · APE · TTA · WavPack · WMA 무손실

압축 소프트웨어

(비교)

오픈 소스

7-Zip · File Roller · KGB · PeaZip · The Unarchiver

프리웨어

다집 · 반디집 · 빵집 · 콩집 · DGCA · FilZip · GCA · IZArc · TUGZip · Zipeg · ZipGenius

상용

알집 · 파워아카이버 · BOMArchiveHelper · MacBinary · Squeez · StuffIt · V3 Zip · WinAce · WinRAR · WinRK · WinZip

명령 줄

ARC · ARJ · JAR · bzip2 · compress · gzip · Info-ZIP · LHA · lzop · NABOB · PAQ · PKZIP · RAR · SBC · UPX

 

Pasted from <http://ko.wikipedia.org/wiki/%EC%BD%94%EB%8D%B1>


  • 데이터 압축

데이터를 더 작은 저장공간에 효율적으로 기록 하기 위함

  • 손실과 비손실

비손실 : 888887777 => 압축 : 8[5]7[4]

손실 : 888887777 => 압축 : 87

 

  • 양자화

수학과 디지털 신호처리에서 양자화는 유한집합에 대량의 입력값을 매핑하는 과정

예)  반올림값을 정밀 단위로 ) 좀더 구체적으로는 샘플링한 PAM신호(아날로그데이터)를

이산적인 값(디지털 데이터)으로 바꾸어 표시

'Broadca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PEG 트랜스 포트 스트림  (0) 2013.05.03
MUX와 DEMUX  (0) 2013.05.03
MPEG 이란?  (0) 2013.05.03
OCAP 이란  (0) 2013.05.03
Posted by RovinJ

OCAP 이란

Broadcast 2013. 5. 3. 10:47

오픈 케이블 응용 플랫폼 ( Opencable  Application Platform )

  • WIKI : http://en.wikipedia.org/wiki/OpenCable_Application_Platform
  • 케이블TV 분야의 양방향 표준 규격으로 모든 케이블TV에서 운용가능한 양방형 TV서비스나 응용 프로그램을 설계 할 수 있는 중간 소프트 웨어 계층
  • MHP/OCAP Middleware
    •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일반 Audio/Video 방송 이외의 다양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표준 규격인 MHP/OCAP Middleware
  • MHP ( Multimedia Home Platform )
    • 2003년 중반 위성방송(SkyLife)가 채택한 데이터방송의 표준규격 : 유럽식 데이터 방송 방식의 미들웨어
  • OCAP Version 1.0
  • OCAP Version 2.0
    • 양방향으로 MHP1.1에 기반, ACAP과의 호환성이 더 높음
  • ACAP ( 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
    • 지상파 DMB가 채택한 데이터 방송, OCAP과의 호환성을 고려해 ATSC(미국 디지털방송 표준기구)가 새롭게 정한 기존 DASE는 OCAP과는 호환되지 않는 결함을 가지고 있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표준 선정, IPTV또한 이 규격을 채택( 지상파 재전송을 위해 )
  • GEM
    • DVB 방식에서 파생된 MHP방식이 모든 방식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호 연동성에 가장 초점을 두고 개발된 미들웨어
    • MHP규격을 최대한 사용하였고 기술적 제한사항과 지역적인 사항을 전부 고려하여 개발
    • 단독 사용이 아니라 MHP를 기반으로 한 규격에 정의된 프레임워크에서 사용

 

구분 

 MHP

OCAP 

ACAP 

표준화 단체

DVB 

Cablelabs 

ATSC 

국내표준 채택 매체

위성방송(SKY LIFE )

케이블 디지털방송 

지상파 디지털방송 

기술구성

JAVA,GEM,DVB Specific

JAVA,GEM,Cable Specific 

JAVA,GEM,ATSC Specific

 

[Source : 한국 언론 전산인협의회발제자료(1주제_IPTV기술동향)]



 


'Broadca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PEG 트랜스 포트 스트림  (0) 2013.05.03
MUX와 DEMUX  (0) 2013.05.03
MPEG 이란?  (0) 2013.05.03
MPEG 원리  (0) 2013.05.03
Posted by RovinJ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블로그 이미지

by RovinJ

공지사항

    최근...

  • 포스트
  • 댓글
  • 트랙백
  • 더 보기

태그

  • 우수타
  • 영어공부

글 보관함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링크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0)
Music (0)
@ Studying @ (0)
My Story (6)
IT Story (4)
Hello (0)
Japanese! (0)
English (0)
U-Phone! (0)
AI (0)
machine_learning (0)
deep_learning (0)
Algorithm&DataStructure (1)
Android (1)
Arduino (2)
Apache (2)
ZooKeeper (0)
Applications (0)
formerRoid (0)
Architecture (0)
Books (0)
[Blog2Book]아는 만큼 보이는 데이터베이스.. (0)
[한빛미디어] MySQL 퍼포먼스 최적화 (0)
[O'REILLY] Javascript Patte.. (0)
[Blog2Book] 자바성능을 결정짓는 코딩 습.. (0)
Do it 직접해보는 하둡 프로그래밍 (0)
Do it 반응형 웹디자인 (0)
Clean Code (0)
데이터가 보인다 (0)
Broadcast (5)
Bots (0)
slack (0)
Cloud (0)
AWS (0)
Data_Eng (2)
Hadoop (2)
Spark (0)
DB (2)
Oracle (0)
SQLite (0)
MySQL (1)
MariaDB (1)
NoSQL (0)
DistributedComputing (0)
GO (3)
Groups (0)
CodeForSeoul (0)
BluffingSloth (0)
HTML&CSS (0)
Ruby (0)
Java (26)
Spring (1)
JSP (2)
PlayFramework (1)
Javascript (2)
Jquery (0)
AngularJS (1)
NodeJS (1)
ES6 (0)
React (0)
Linux (0)
MAC (0)
Network (0)
Xmpp (0)
NAS (0)
PHP (0)
Programming (0)
Eclipse (0)
DesignPattern (0)
Git (0)
Project (2)
VidasOne (1)
Panape (0)
Python (0)
SearchEngines (0)
Elastic_Search (0)
Scala (0)
TastyRoad (0)
Etc (1)
OneNote (0)
UX&UI (0)
Machine (0)
Crawler (0)
Design (0)
여행 (0)
유럽여행- 결혼10주년 (0)

카운터

Total
Today
Yesterday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RovinJ's Blog is powered by daumkakao
Skin info material T Mark3 by 뭐하라
favicon

Rovin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60)
    • Music (0)
    • @ Studying @ (0)
    • My Story (6)
    • IT Story (4)
    • Hello (0)
    • Japanese! (0)
    • English (0)
      • U-Phone! (0)
    • AI (0)
      • machine_learning (0)
      • deep_learning (0)
    • Algorithm&DataStructure (1)
    • Android (1)
    • Arduino (2)
    • Apache (2)
      • ZooKeeper (0)
    • Applications (0)
      • formerRoid (0)
    • Architecture (0)
    • Books (0)
      • [Blog2Book]아는 만큼 보이는 데이터베이스.. (0)
      • [한빛미디어] MySQL 퍼포먼스 최적화 (0)
      • [O'REILLY] Javascript Patte.. (0)
      • [Blog2Book] 자바성능을 결정짓는 코딩 습.. (0)
      • Do it 직접해보는 하둡 프로그래밍 (0)
      • Do it 반응형 웹디자인 (0)
      • Clean Code (0)
      • 데이터가 보인다 (0)
    • Broadcast (5)
    • Bots (0)
      • slack (0)
    • Cloud (0)
      • AWS (0)
    • Data_Eng (2)
      • Hadoop (2)
      • Spark (0)
    • DB (2)
      • Oracle (0)
      • SQLite (0)
      • MySQL (1)
      • MariaDB (1)
      • NoSQL (0)
    • DistributedComputing (0)
    • GO (3)
    • Groups (0)
      • CodeForSeoul (0)
      • BluffingSloth (0)
    • HTML&CSS (0)
    • Ruby (0)
    • Java (26)
      • Spring (1)
      • JSP (2)
      • PlayFramework (1)
    • Javascript (2)
      • Jquery (0)
      • AngularJS (1)
      • NodeJS (1)
      • ES6 (0)
      • React (0)
    • Linux (0)
    • MAC (0)
    • Network (0)
      • Xmpp (0)
      • NAS (0)
    • PHP (0)
    • Programming (0)
      • Eclipse (0)
      • DesignPattern (0)
      • Git (0)
    • Project (2)
      • VidasOne (1)
      • Panape (0)
    • Python (0)
    • SearchEngines (0)
      • Elastic_Search (0)
    • Scala (0)
    • TastyRoad (0)
    • Etc (1)
      • OneNote (0)
    • UX&UI (0)
    • Machine (0)
      • Crawler (0)
    • Design (0)
    • 여행 (0)
      • 유럽여행- 결혼10주년 (0)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